서울 한강 수영장은 매년 여름철 많은 시민들이 찾는 대표적인 야외수영장으로, 수질관리에 대한 관심도 함께 높아지고 있습니다. 서울시는 체계적인 수질검사와 엄격한 관리기준으로 시민들의 안전과 건강을 지키고 있습니다.
서울 한강공원 수영장 수질검사와 실시간 확인방법
목차

한강 수영장 수질검사 방법과 기준
한강 수영장은 매일 간이검사와 주 1회 전문기관 종합검사를 통해 철저히 수질을 관리합니다.
- 유리잔류염소: 0.4~1.0 mg/L 유지
- pH: 5.8~8.6 범위 유지
- 탁도: 1.5 NTU 이하
- 총대장균군 검사 등 전문항목 포함
안전성 확보를 위해 하루 3회 이상 여과 및 소독이 이루어집니다.
한강 수영장 수질검사 주기와 실시간 확인 방법
- 매일: 유리잔류염소, pH, 탁도 간이검사 실시
- 주 1회: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 정밀 수질검사
- 연 1회: 중금속 등 추가 전문항목 검사
서울시 열린데이터광장(data.seoul.go.kr)과 물순환정보 공개시스템에서 실시간 수질정보 확인이 가능합니다.
한강 야외수영장 수질기준과 안전성 확보
서울시는 법적 기준 이상의 엄격한 수질관리를 진행하며, 안전요원 배치와 이용수칙 준수도 강조합니다. 오염 발생 시 즉시 물 교체, 소독 강화, 시설 점검 후 재검사까지 진행됩니다.
한강 수영장 수질 미달 시 조치사항
수질이 법적 기준 미달 시 즉시 운영 중단 및 원인 조사 → 물 교체 및 소독 강화 → 재검사 완료 후 재개
운영중단과 조치사항은 시민들에게 투명하게 공개됩니다.
한강 수영장 수질검사 비교표
검사 항목 | 기준치 | 검사 주기 | 검사 주체 |
---|---|---|---|
유리잔류염소 | 0.4~1.0 mg/L | 매일 (간이검사) | 수영장 자체 검사 |
pH | 5.8~8.6 | 매일 (간이검사) | 수영장 자체 검사 |
탁도 | 1.5 NTU 이하 | 매일 (간이검사) | 수영장 자체 검사 |
총대장균군 | 법적 기준 준수 | 주 1회 | 전문기관 (서울시) |
과망간산칼륨 소비량 | 12 mg/L 이하 | 주 1회 | 전문기관 (서울시) |
서울시 야외수영장 수질관리 비교표
구분 | 서울시 한강 수영장 | 일반 소규모 수영장 |
---|---|---|
관리주체 |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 한강사업본부 | 지자체 또는 민간업체 |
검사 빈도 | 매일 간이검사 + 주 1회 정밀검사 | 주 1회 또는 월 1회 검사 |
실시간 정보공개 | 열린데이터광장, 물순환시스템 제공 | 일부 민간업체만 제공 |
수질기준 강화 | 법정 기준 + 자체 강화 기준 적용 | 법정 기준만 적용 |
시설관리 | 여과기 교체, 정기점검, 소독 철저 | 기본 수준 유지 |
한강 수영장 안전한 이용 수칙
- 수영장 이용 전 샤워 필수
- 수영모 착용 의무화
- 음식물, 주류, 유리병 반입 금지
- 안전요원 지시에 따라 행동
서울시의 철저한 수질검사와 실시간 공개 시스템 덕분에 한강 수영장은 안전하게 즐길 수 있는 도심 속 휴식 공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