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장려금 지급가구 수는 저소득 근로자의 생활 안정을 위한 중요한 지표로, 매년 제도 개선과 정책 변화에 따라 지급 규모와 가구 수가 꾸준히 확대되고 있다. 최근 자료를 바탕으로 연도별 변화, 가구 유형별 현황, 지역별 차이를 분석한다.
단독 맞벌이 홑벌이 근로장려금 지역별 비교
목차

근로장려금 지급가구 수 변화 추이
근로장려금은 제도 도입 이후 지급가구 수가 계속 증가하고 있다. 소득 기준 완화와 정책 확대 덕분에 수급 대상이 늘어난 것이 주된 요인이다.
- 2023년: 507만 가구 (기한 후 포함 시 518만 가구), 5조 6천억 원
- 2024년: 212만 가구, 2조 4,134억 원 (상·하반기 분할 지급)
- 2025년: 현재 통계 미발표 상태
주요 요인
- 단독가구 연령 제한 폐지 (2019년)
- 소득 기준 상향 (예: 맞벌이 가구 3,800만 → 4,400만 원)
- 자녀장려금 소득 기준 완화 (4천만 → 7천만 원 미만)
가구 유형별 지급 현황 분석
가구 유형별로 지급 기준과 금액이 다르며, 이에 따라 지급 가구 수에도 큰 차이가 있다.
가구 유형 | 2023년 지급가구 수 | 소득 기준 | 최대 지급액 |
---|---|---|---|
단독 가구 | 약 91.7만 가구 | 2,200만 원 미만 | 165만 원 |
홑벌이 가구 | 약 26.2만 가구 | 3,200만 원 미만 | 285만 원 |
맞벌이 가구 | 약 3.7만 가구 | 4,400만 원 미만 | 330만 원 |
특징
- 단독가구는 전체 수급자 중 가장 높은 비중
- 맞벌이·홑벌이 가구는 자녀장려금 완화로 수혜 증가
- 청년층 단독가구 수급 확대는 정책 개편의 직접적 결과
연도별 지급 규모 비교
정책 개선에 따라 지급 금액과 수급 가구 수는 해마다 변화하고 있다.
귀속연도 | 지급가구 수 | 총 지급액 | 주요 변화 내용 |
---|---|---|---|
2020 | 505만 가구 | 5조 1,342억 원 | 반기 신청 도입, 단독가구 연령 제한 폐지 |
2023 | 507만 가구 | 5조 6천억 원 | 자녀장려금 소득 기준 완화 |
2024 | 212만 가구 | 2조 4,134억 원 | 소득 기준 상향, 분할 지급 (상·하반기) |
분석 포인트
- 반기 지급 체계 정착으로 상·하반기 지급 통계 분리
- 매년 점진적 기준 완화가 수급 가구 수 확대에 직접 영향
지급가구 수 많은 지역 TOP
지역별로 근로장려금 수급 가구 수는 인구 밀도와 소득 구조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인다.
지역 | 수급 가구 수 (2022 기준) | 특징 |
---|---|---|
경기도 | 약 20만 2천 가구 | 수도권 최대 인구 보유, 다양한 직업군 분포 |
서울특별시 | 약 13만 8천 가구 | 단독가구 및 청년층 집중 |
부산광역시 | 약 9만 6천 가구 | 자영업자 비율 높음 |
인천·관악·제주 | 약 1~6만 가구 | 저소득층 밀집지역 |
세종·울산 | 1~3만 가구 이하 | 고소득 공무원 비율 높음, 평균 소득 높음 |
요점
- 경기·서울·부산 등 대도시 중심의 분포
- 인구수와 산업 구조가 수급 규모 결정 요인
- 고소득층 비중 높은 지역은 수급률 낮음
근로장려금 수급 증가의 배경과 전망
지급 대상 확대는 단순 수급 증가를 넘어, 정책 의도인 저소득층 지원과 근로 유인 강화의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 청년층 참여 확대: 단독가구 조건 완화로 20대 수급자 증가
- 맞벌이·자녀가구 혜택 증대: 자녀장려금 기준 완화, 최대 지급액 상향
- 지급 구조 개편: 반기 지급 도입으로 더 빠른 수급 가능
정부는 2025년 이후에도 소득 기준, 지급 금액 등의 지속적인 개편을 예고하고 있어 지급 가구 수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