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라마이드와 판테놀의 함량은 효과와 직결된다. 일반적 범위와 고농축 기준, 전성분표로 확인하는 방법, 1% 규칙과 제품명 함량 표기, 제형·배합에 따른 체감 차이, 피부 타입별 선택 가이드를 한 문서로 정리했다
고농축 판테놀 세라마이드 보습 시너지 사용법
목차

세라마이드 판테놀 효능 차이
세라마이드는 피부 장벽 지질을 보완해 수분 증발을 줄이고, 판테놀은 비타민B5 전구체로 진정·보습·장벽 회복을 돕는다. 두 성분을 함께 쓰면 수분 공급과 봉쇄가 시너지를 낸다. 고함량 표기만 보지 말고 제형·보습 보조성분·피부 타입까지 함께 판단하는 것이 핵심이다
세라마이드·판테놀 함량 범위 비교 정리
성분 | 일반 권장 함량(%) | 고농축 범위(%) | 역할 요약 | 비고 |
---|---|---|---|---|
세라마이드 | 0.1~1 | 2 이상 사례 | 장벽 보완, 수분 유지 | 리포좀·에멀전 안정화 중요 |
판테놀 | 1~5 | 10까지 사례 | 진정, 보습, 장벽 회복 | 제형 점도·흡수력 영향 |
덱스판테놀 | 5 (의약품 범주) | 제품 기준 고정 | 손상 부위 보호 | 얼굴 전량 사용 주의 |
전성분표 확인 절차와 1% 규칙
전성분은 함량 많은 순서로 기재되며 1% 이하 성분은 순서 예외가 가능하다. 제품명에 수치를 넣으면 해당 함량을 정확히 표시해야 한다. 전성분 앞쪽에 세라마이드·판테놀이 위치하면 상대적 고함량일 가능성이 높다. 관련 규정은 다음 자료의 전성분 표시 기준 살펴보기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전성분 표시 기준 살펴보기
함량 표기·확인 방법 정리
항목 | 확인 위치 | 체크 포인트 | 주의 |
---|---|---|---|
전성분 순서 | 패키지·상세페이지 | 앞쪽 표기일수록 상대적 고함량 | 물·보습제 다음 위치 주목 |
1% 규칙 | 전성분 목록 | 1% 이하 성분 순서 예외 가능 | 낮은 위치=저함량 추정 |
제품명 수치 | 전면 라벨 | “판테놀 5%” 등 수치 표기 | 수치 표기 시 실제 함량 충족 |
INCI 표기 | 성분명 | Panthenol, Ceramide NP 등 | 유사·전구체 표기 함께 확인 |
배합 한계 | 전성분·브로셔 | 제형·안정화에 따라 상한 존재 | 단일 고함량보다 밸런스 중요 |
고농축 사용 시 트러블 유발 요소
문제는 성분 자체보다 제형과 동반 성분에서 발생하기 쉽다. 오일 리치 크림·연고는 지성·트러블 피부에 번들·면포를 유발할 수 있다. 실리콘·향·보존제 등 민감 유발 가능 성분, 과량 사용, 두꺼운 도포 후 즉시 마스크 착용 등이 영향을 준다. 새 제품은 국소 패치 테스트로 반응부터 확인한다
피부 타입별 선택 가이드 정리
피부 타입 | 세라마이드 권장 | 판테놀 권장 | 제형 추천 | 사용 팁 |
---|---|---|---|---|
건성·장벽 손상 | 0.5~1% 이상 | 2~5% | 크림·밤 | 세라마이드 밤 밤중 레이어링 |
민감·홍조 | 0.3~0.8% | 3~5% | 로션·크림 | 보존제·향 최소 포뮬라 선택 |
지성·트러블 | 0.1~0.5% | 1~3% | 젤·라이트 로션 | 유분 낮고 흡수 빠른 타입 |
사계절 데일리 | 0.3~0.7% | 1~2% | 로션·에멀전 | 낮엔 얇게, 밤엔 크림 보완 |
세라마이드 판테놀 성분 선택 체크포인트
제품명 수치 표기 유무, 전성분 내 상대 위치, 세라마이드 종류(NP/AP/EOP 등)와 전달 기술(리포좀·마이크로에멀전), 판테놀%와 점도, 보습 보조성분(글리세린·히알루론산·스쿠알란)의 밸런스, 사용 맥락(계절·마스크 착용·메이크업 호환성)을 동시에 보라. 함량은 기준일 뿐, 제형 완성도가 체감력을 좌우한다